주사위 굴리기
www.acmicpc.net/problem/14499
14499번: 주사위 굴리기
첫째 줄에 지도의 세로 크기 N, 가로 크기 M (1 ≤ N, M ≤ 20), 주사위를 놓은 곳의 좌표 x y(0 ≤ x ≤ N-1, 0 ≤ y ≤ M-1), 그리고 명령의 개수 K (1 ≤ K ≤ 1,000)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지도
www.acmicpc.net
문제
크기가 N×M인 지도가 존재한다. 지도의 오른쪽은 동쪽, 위쪽은 북쪽이다. 이 지도의 위에 주사위가 하나 놓여져 있으며, 주사위의 전개도는 아래와 같다. 지도의 좌표는 (r, c)로 나타내며, r는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c는 서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2 4 1 3 5 6
주사위는 지도 위에 윗 면이 1이고, 동쪽을 바라보는 방향이 3인 상태로 놓여져 있으며, 놓여져 있는 곳의 좌표는 (x, y) 이다. 가장 처음에 주사위에는 모든 면에 0이 적혀져 있다.
지도의 각 칸에는 정수가 하나씩 쓰여져 있다. 주사위를 굴렸을 때, 이동한 칸에 쓰여 있는 수가 0이면, 주사위의 바닥면에 쓰여 있는 수가 칸에 복사된다. 0이 아닌 경우에는 칸에 쓰여 있는 수가 주사위의 바닥면으로 복사되며, 칸에 쓰여 있는 수는 0이 된다.
주사위를 놓은 곳의 좌표와 이동시키는 명령이 주어졌을 때, 주사위가 이동했을 때 마다 상단에 쓰여 있는 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주사위는 지도의 바깥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만약 바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을 무시해야 하며, 출력도 하면 안 된다.
입력
첫째 줄에 지도의 세로 크기 N, 가로 크기 M (1 ≤ N, M ≤ 20), 주사위를 놓은 곳의 좌표 x y(0 ≤ x ≤ N-1, 0 ≤ y ≤ M-1), 그리고 명령의 개수 K (1 ≤ K ≤ 1,000)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지도에 쓰여 있는 수가 북쪽부터 남쪽으로, 각 줄은 서쪽부터 동쪽 순서대로 주어진다. 주사위를 놓은 칸에 쓰여 있는 수는 항상 0이다. 지도의 각 칸에 쓰여 있는 수는 10을 넘지 않는 자연수 또는 0이다.
마지막 줄에는 이동하는 명령이 순서대로 주어진다. 동쪽은 1, 서쪽은 2, 북쪽은 3, 남쪽은 4로 주어진다.
출력
이동할 때마다 주사위의 윗 면에 쓰여 있는 수를 출력한다. 만약 바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을 무시해야 하며, 출력도 하면 안 된다.
삼성SW역량테스트 기출문제 4번째 문제
주사위를 굴려서 주사위 값, 지도의 값을 갱신하는 문제
우선 주사위를 굴려서 나올 수 있는 경우의수를 보면
주사위는 6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위의 방향 순서대로 아래와 같이 배열을 채웠을때
int dice[6] = {1, 2, 3, 4, 5, 6};
case 1:동쪽으로 굴리기
dice = { dice[4], dice[2], dice[1], dice[6], dice[5], dice[3] };
case 2:서쪽으로 굴리기
dice = { dice[3], dice[2], dice[6], dice[1], dice[5], dice[4] };
case 3:북쪽으로 굴리기
dice = { dice[5], dice[1], dice[3], dice[4], dice[6], dice[2] };
case 4:남쪽으로 굴리기
dice = { dice[2], dice[6], dice[3], dice[4], dice[1], dice[5] };
다음과 같이 변한다고 볼 수있다.
머리 좋은사람은 바로바로 계산이 되나??? 나는 직접 그림으로 그려서 경우의 수를 구했다.
아 그리고 이분의 코드를 따라해 보았습니다.
donggoolosori.github.io/2020/11/09/boj-14499/
[백준] 14499번 주사위 굴리기 - C++ - DGOS | 동꿀오소리
문제 14499번 주사위 굴리기 풀이 우선 주사위 각면의 숫자를 저장하는 크기 7의 dice 벡터를 만든다. 인덱스 번호를 맞추기 위해 크기를 7로 할당했다. 1 vector dice(7); // index 1 윗면, 2 북쪽면, 3
donggoolosori.github.io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int map[21][21];
int n, m, y, x, k;
int ans;
//index 1(동쪽) 2(서쪽) 3(북쪽) 4(남쪽)
//문제에 나와있는 순서대로
int dx[] = { 0, 1, -1, 0, 0 };
int dy[] = { 0, 0, 0, -1, 1 };
//움직임을 담는 배열
int moves[1001];
//위, 북, 동, 서, 남, 아래
vector<int> dice(7);
void move(int dir)
{
//좌표움직임 설정한 순서대로
switch (dir)
{
//동
case 1:
dice = { 0, dice[4], dice[2], dice[1], dice[6], dice[5], dice[3] };
break;
//서
case 2:
dice = { 0, dice[3], dice[2], dice[6], dice[1], dice[5], dice[4] };
break;
//북
case 3:
dice = { 0, dice[5], dice[1], dice[3], dice[4], dice[6], dice[2] };
break;
//남
case 4:
dice = { 0, dice[2], dice[6], dice[3], dice[4], dice[1], dice[5] };
break;
}
}
void solve()
{
for (int i = 0; i < k; i++)
{
int ny = y + dy[moves[i]];
int nx = x + dx[moves[i]];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
if (ny >= 0 && nx >= 0 && ny < n && nx < m)
{
//현재좌표 업데이트
y = ny; x = nx;
//움직인다.
move(moves[i]);
//주사위 윗면 출력
cout << dice[1] << '\n';
//지도가 0이면 지도에 주사위 아래 숫자 복사
if (!map[y][x])
map[y][x] = dice[6];
//지도가 0이 아니면 주사위에 지도 숫자 복사, 지도 숫자-> 0
else
{
dice[6] = map[y][x];
map[y][x] = 0;
}
}
}
}
int main()
{
cin >> n >> m >> y >> x >> k;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m; j++)
{
cin >> map[i][j];
}
}
for (int i = 0; i < k; i++)
cin >> moves[i];
solve();
return 0;
}
|
cs |
'Programming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뮬레이션, BOJ-14503 ] 로봇청소기, c++ (0) | 2021.05.20 |
---|---|
[구현, BOJ-14500] 테트로미노, c++ (0) | 2021.05.13 |
[mathmatics BOJ-13458] 시험감독, c++ (1) | 2021.05.11 |
[Implementation, BOJ-3190] 뱀, c++ (0) | 2021.05.11 |
[Simulation, BOJ-12100] 2048(Easy), c++ (0) | 2021.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