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제 설명

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tuple)이라고 합니다.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튜플(n-tuple)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a1, a2, a3, ..., an)

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 ex : (2, 3, 1, 2)
  2. 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 ex : (1, 2, 3) ≠ (1, 3, 2)
  3. 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

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 (a1, a2, a3, ..., an)이 주어질 때(단, a1, a2, ..., an은 자연수),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 '}'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a1}, {a1, a2}, {a1, a2, a3}, {a1, a2, a3, a4}, ... {a1, a2, a3, a4, ..., an}}

예를 들어 튜플이 (2, 1, 3, 4)인 경우 이는

  • {{2}, {2, 1}, {2, 1, 3}, {2, 1, 3, 4}}

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때,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

  • {{2}, {2, 1}, {2, 1, 3}, {2, 1, 3, 4}}
  • {{2, 1, 3, 4}, {2}, {2, 1, 3}, {2, 1}}
  • {{1, 2, 3}, {2, 1}, {1, 2, 4, 3}, {2}}

는 모두 같은 튜플 (2, 1, 3, 4)를 나타냅니다.

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s의 길이는 5 이상 1,000,000 이하입니다.
  • s는 숫자와 '{', '}', ','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숫자가 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 s는 항상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 s가 표현하는 튜플의 원소는 1 이상 1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 500 이하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

s result
"{{2},{2,1},{2,1,3},{2,1,3,4}}" [2, 1, 3, 4]
"{{1,2,3},{2,1},{1,2,4,3},{2}}" [2, 1, 3, 4]
"{{20,111},{111}}" [111, 20]
"{{123}}" [123]
"{{4,2,3},{3},{2,3,4,1},{2,3}}" [3, 2, 4, 1]

문제 풀이

 

두 가지 방법

1. map[key] = value; 를 이용하여

map[string] = 개수

map -> vector -> value 내림 차순 정렬 -> answer에 넣기

 

2. 1번과 동작 원리는 같으나 vector만을 이용해서 구하기

 


소스 코드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iostream>
#include <algorithm>
#include <map>
using namespace std;
map<string,int> m;

bool compare(pair<string, int> a, pair<string, int> b)
{
    return a.second > b.second;
}
vector<int> solution(string s) {
    vector<int> answer;
    
    for(int i=0;i<s.size();i++)
    {
        if(s[i] >='0' && s[i] <='9')
        {
            string tmp(1,s[i]);
            int idx = i+1;
            while(idx < s.size())
            {
                if(s[idx] != ',' && s[idx] !='}')
                    tmp +=s[idx];
                else
                    break;
                i++;
                idx++;
            }
            m[tmp]++;
        }
    }
    
    vector<pair<string, int>> v (m.begin(), m.end());
    sort(v.begin(), v.end(), compare);
    for(auto i : v)
        answer.push_back(stoi(i.first));
    return answer;
}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vector<string> split(string s)
{
    vector<vector<string>> answer;
    vector<string> v;
    string tmp = "";
    for(int i=1;i<s.size()-1;i++)
    {
        if(s[i] >= '0' && s[i] <='9')
            tmp += s[i];
        else if(s[i] =='}' && tmp.size() > 0)
        {
            v.push_back(tmp);
            tmp = "";
            answer.push_back(v);
        }
        else if(s[i] == ',' && tmp.size() >0)
        {
            v.push_back(tmp);
            tmp = "";
        }
    }
    return answer[answer.size()-1];
}
bool compare(pair<string, int> a, pair<string, int> b)
{
    return a.second > b.second;
}
vector<int> solution(string s)
{
    vector<int> answer;
    vector<string> tmp = split(s);
    vector<pair<string, int>> v;
    vector<string> tmp2;
    for(int i=0;i<tmp.size();i++)
    {
        if(find(tmp2.begin(), tmp2.end(), tmp[i]) == tmp2.end())
        {
            tmp2.push_back(tmp[i]);
            v.push_back({tmp[i], 1});
        }
        else
        {
            for(int g=0;g<v.size();g++)
            {
                if(v[g].first == tmp[i])
                    v[g].second++;
            }
        }
    }

    
    sort(v.begin(), v.end(), compare);
    for(auto a : v)
    {
        answer.push_back(stoi(a.first));
    }
    
    return answer;
}
LIST

+ Recent posts